Loading...
Please wait, while we are loading the content...
Similar Documents
Burn Injury Caused by Electrosurgical Unit during Adenotonsillectomy
| Content Provider | Semantic Scholar |
|---|---|
| Author | Heo, Sung Jae Na, Kyung Jin Kim, Jung-Soo |
| Copyright Year | 2016 |
| Abstract |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은 만성 편도선염, 코골이 및 수 면무호흡, 편도결석, 편도주위농양, 삼출성 중이염, 만성 부비 동염 등의 경우에 시행하며, 이비인후과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 는 수술 중 하나이다.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는 통증, 탈수, 출혈, 오심과 구토, 연하곤란, 폐렴 등이 있다. 이외의 드문 합병증으로 미각 변화, 구개인두부전, 술부 화상 등이 있 으며 전기수술기(electrosurgical unit)에 의한 화상은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에 대한 교과서나 문헌의 합병증 부분에 대부분 언급되어 있지 않고, 이에 관한 증례보고 또한 매우 드물다. Reilly 등이 2006년에 처음으로 편도아데노이드 절 제술 시행 중 발생한 화상 환자를 보고하였고, Nuara 등이 7예, Tuncer와 Şentürk가 1예를 보고하여, 지금까지 총 9예 만이 국외에서 보고되었고, 국내 보고는 없었다. 편도아데노이드 수술과 관련된 화상은 매우 드물게 보고 되고 있지만, 비교적 많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경험하고 있 다. 미국에서 시행된 설문 연구에 의하면, 설문에 응답한 101 명의 이비인후과 의사 중 61명(60.4%)이 1번 이상 편도아데노 이드 수술 관련 화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. 비록 발 생률은 0.01~0.04%로 매우 낮지만, 화상 합병증이 발생하면 화상 정도에 따라서 영구적인 흉터가 남을 수 있고 이에 따 른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, 대부분 의 의사들이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지 않아서 적절한 대비 를 하지 않고 있다. 저자들은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중 전기수술기에 의해 발생한 화상 증례와 함께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 법을 보고하는 바이다. Burn Injury Caused by Electrosurgical Unit during Adenotonsillectomy |
| Starting Page | 873 |
| Ending Page | 876 |
| Page Count | 4 |
| File Format | PDF HTM / HTML |
| DOI | 10.3342/kjorl-hns.2016.59.12.873 |
| Volume Number | 59 |
| Alternate Webpage(s) | http://www.kjorl.org/upload/pdf/kjorl-59-12-873.pdf |
| Alternate Webpage(s) | https://doi.org/10.3342/kjorl-hns.2016.59.12.873 |
| Language | English |
| Access Restriction | Open |
| Content Type | Text |
| Resource Type | Article |